카테고리 없음

미주신경[ vagus nerve]

하늘꽃별나무바람 2021. 7. 16. 09:49

(출처:동물학백과)

미주신경[ vagus nerve]

 

정의

미주신경(vagus nerve)은 쌍으로 된 12개의 뇌신경(cranial nerve)들 중의 하나로서 10번째 뇌신경(cranial nerve X: CN X)에 해당된다. 미주신경은 뇌로부터 나와서 얼굴, 흉부, 복부에 걸쳐서 분포한다. 미주신경은 부교감신경섬유를 포함하는 혼합신경으로서 심장, 폐, 소화관 등에 작용하는 부교감신경의 조절에 관여한다. 12쌍의 뇌신경 중에서 가장 길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미주신경은 감각신경섬유와 운동신경섬유를 모두 포함한다.

 

뇌신경(아래쪽에서 본 뇌의 모습)(출처: GettyimagesKorea)

미주신경의 구조

 

미주신경의 경로

미주신경은 연수에서 나온 여러 개의 잔뿌리 형태로부터 시작되어 목정맥구멍(jugular foramen)을 통해서 두개골 밖으로 나온다. 미주신경의 감각신경절에는 위신경절(superior ganglion)과 아래신경절(inferior ganglion)이 있는데, 목정맥구멍의 안쪽과 바로 바깥쪽에 각각 위치한다. 미주신경은 목에서 목혈관신경집(carotid sheath)에 둘러싸여 수직으로 내려온다. 오른쪽 미주신경은 흉부로 내려와서 오른쪽허파와 식도, 복부로 더 내려와서 위, 간, 콩팥, 작은창자, 큰창자에 신경얼기(plexus)의 형태로 분지하여 분포한다. 왼쪽미주신경은 왼쪽 허파, 식도, 위, 간, 십이지장, 이자에 분포한다.

미주신경 경로(출처: GettyimagesKorea)

 

 

미주신경핵(vagus nerve nucleus)

미주신경핵은 연수(medulla)에 존재하며 주운동핵, 부교감신경핵, 감각핵의 세 종류의 신경핵으로 이루어진다.

주운동핵(main motor nucleus): 주운동핵은 연수의 그물체의 심부에 위치하며 미주신경의 원심성 운동신경섬유를 낳는다.

 

 

부교감신경핵(parasympathetic nucleus): 부교감신경핵은 연수의 등쪽에 있는 미주신경등쪽핵(dorsal nucleus of vagus nerve)에 위치한다. 부교감신경핵으로부터 나온 부교감 신경섬유는 기관지, 심장, 식도, 위, 작은창자, 큰창자 등의 불수의근을 조절한다.

 

 

감각핵(sensory nucleus): 감각핵은 연수의 고립로핵(nucleus of solitary tract)의 아랫부분과 삼차신경 척수핵(spinal nucleus of trigeminal nerve)을 포함한다. 미주신경의 아래신경절에 위치한 신경세포의 축삭이 고립로핵에 미각정보를 전달한다. 체감각, 통증, 온도, 외이로부터의 감각정보는 미주신경의 위신경절을 거쳐서 삼차신경 척수핵으로 들어온다.

 

 

미주신경의 기능

미주신경은 여러 중요한 기관들에 분포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원심성운동신경섬유는 인두의 수축근과 후두의 속근육들을 지배하여 말하기에 영향을 미친다. 미주신경의 부교감신경섬유는 심장박동, 창자의 연동운동, 땀 분비 등을 조절한다. 구심성 감각신경섬유는 몸 전체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감각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식물에 의한 위의 기계적인 팽창정도나 음식물에 의한 화학물질은 미주신경에 의하여 감지되어 그 정보가 뇌로 전달된다.

 

 

미주신경 이상 증상

미주신경실신: 미주신경은 대부분이 부교감신경이다. 부교감신경의 활동이 항진되면 일시적으로 뇌 혈류가 감소하게 되는데 극도의 스트레스나 긴장 등 감정적인 변화가 불안정한 자율신경내 교감신경의 항진을 불러오면 이로 인해 실신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미주신경실신이라고 한다.

삼킴장애(dysphagia) 및 구음장애(dysarthria): 미주신경은 구강 인두의 미각, 후두와 후인두의 감각과 운동 기능에 중요하기 때문에 미주신경의 이상은 삼킴장애와 구음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위마비(gastroparesis): 미주신경의 조절에 의해서 위가 수축하여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소장으로 내려 보내지만 미주신경의 손상으로 인해 위장의 운동성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참고 문헌

  1. Bear MF, Connors BW, Paradiso MA. (2015) Neuroscience: Exploring the brain (4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 Snell R. (2010) Clinical neuroanatomy (7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관련이미지
  3.   
    미주신경의 영역출처: 메드아트 (촬영: )
  4. [네이버 지식백과] 미주신경 [vagus nerve] (동물학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