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운법:행운을 부르는 습관 72

당뇨 예방, 여주차(苦瓜茶, Bitter Melon Tea)

당뇨 예방, 여주차(苦瓜茶, Bitter Melon Tea) 1. 이름의 유래여주(苦瓜)는 '苦(쓸 고) + 瓜(오이 과)', 즉 ‘쓴 오이’라는 뜻이야.이름에서 알 수 있듯 쓴맛이 강한 열매지.영어로는 'Bitter Melon(비터 멜론)', 일본에서는 '니가우리(にがうり)'라고도 불러.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고야’, ‘고과’라고 불렀어. 2. 전설과 상징적 이야기 (1) 중국 민간 설화어느 산간 마을에 매년 여름마다 큰 열병이 돌았는데, 한 노파가 나타나 마을 사람들에게 쓰디쓴 차를 달여 마시게 했어.그 차를 마신 사람들은 열병에서 기적처럼 회복되었고,그 식물이 바로 고과(苦瓜), 여주였어.그날 이후, 여주는 여름철에 몸을 보호해주는 약초로 전해졌어. (2) 일본 오키나와 전설옛날 류큐 왕국..

감잎차 (Persimmon Leaf Tea)

감잎차 (Persimmon Leaf Tea) 잎은 차로, 열매는 약으로, 가지는 부적으로 활용 비타민 A, 루테올린 성분이 풍부, 눈의 피로와 시력 개선에 도움 1. 이름의 유래감잎차는 말 그대로 '감나무의 잎을 따서 덖거나 말려' 만든 차야.한자로는 시엽차(柿葉茶)라고 해.예부터 감은 열매뿐만 아니라,잎과 가지, 심지어 껍질까지 귀한 약재로 썼대. 2. 전설과 상징적 이야기 (1) 동방삭(東方朔)과 감나무중국 한나라 때 장수인 동방삭(東方朔)은"장수가 되고 싶다면 감잎을 우려 마시고, 단감을 먹으라"고 했대.전설에 따르면 그는 감잎차를 매일 마시며 천수를 누렸고, 피부가 윤기 나고 눈이 맑았으며 백발이 없었다고 해.그래서 감잎은 불로초와 비슷한 장수의 상징으로 여겨졌지! 특히 늦봄에 딴 어린 감잎은..

생명의 나무, 모링가차(Moringa Tea)

모링가차(Moringa Tea) 항산화, 해독, 영양을 한 번에 선물하는 슈퍼 푸드 300가지 이상의 질병을 치료하는 약초 1. 이름의 유래모링가(Moringa)는 남인도 타밀어 '무룽가이(Murungai)'에서 유래했어.뜻은 '비틀린 꼬투리'를 뜻하는데, 열매의 모양에서 따온 이름이야!‘기적의 나무’, ‘생명의 나무’라 불리는 모링가(Moringa oleifera)의 잎으로 만든 차야.학명은 Moringa oleifera북인도 히말라야 기슭 지역에서 유래한 나무로,인도와 아프리카, 중동, 동남아 등 여러 문명권에서 신성한 생명의 나무로 여겨졌어. 2. 전설과 상징적 이야기 (1) 인도 아유르베다- 생명나무 고대 인도에서는 모링가를 '시그루(Shigru)'라고 불렀어.아유르베다(Ayurveda..

쌍화차(雙和茶, Ssanghwa Tea)

쌍화차(雙和茶, Ssanghwa Tea) 쌍화(雙和)는 기(氣)와 혈(血)을 둘 다 조화롭게 보한다는 뜻 《동의보감》,기허, 혈허, 소화불량, 만성피로, 산후 허약 치료용 1. 이름의 유래쌍화(雙和)는 두 가지 ‘화(和)’를 의미해. 기(氣)와 혈(血) 또는 음(陰)과 양(陽) 을 모두 '조화롭게 보한다, 균형있게 한다'는 뜻.영어로는 보통 Herbal restorative tea 또는 Korean medicinal tea라고 번역해. (1) 쌍화차에 들어가는 주요 재료숙지황熟地黃피를 보하고 진액을 보충해줘 (혈허, 피로 회복)당귀當歸여성 건강, 혈액순환, 자궁 보강천궁川芎두통, 어지럼증 완화, 혈을 잘 돌게 해줘백작약白芍藥혈을 보하고 간을 진정시켜 (스트레스 완화)황기黃芪면역력 강화, 기운 북돋움, ..

블루말로우차(Blue Mallow Tea)

블루말로우차(Blue Mallow Tea) 투명한 물빛이 푸르스름하게 번지는 마법 같은 차 감정의 정화, 내면의 변화, 성장의 상징 1. 이름의 유래말로우(Mallow)는 라틴어 'malva'에서 유래했고,라틴어 'Malva'는 그리스어 'μαλάχη (malakhē)'에서 유래했어. 이 단어는 '부드럽다, 연하다'는 뜻을 가진 'mollis'와 연결돼. 잎이 연하고 부드러우며,점액질(mucilage) 성분이 풍부해서염증을 가라앉히고, 기관지를 부드럽게 해주는 작용이 있었기 때문이야.옛사람들은 몸과 마음의 자극을 완화시키는 부드러운 약초로서 malva를 아주 귀하게 여겼지.즉, malva = 부드러운 식물이라는 뜻이야! 블루말로우는 말로우 중에서도 푸른빛 꽃잎을 가진 품종이야.학명은 Malva s..

도라지차(桔梗茶, Bellflower Root Tea)

도라지차(桔梗茶, Bellflower Root Tea) 기관지, 폐, 목 건강을 다스리는 대표적인 한방차 전통 민간요법에서 기관지염, 천식, 인후통, 감기 치료용 1. 이름의 유래도라지(桔梗茶)는 한자로 ‘길할 길(吉)’ + ‘줄기 경(梗)’즉, '기운을 길하게 해주는 뿌리'라는 뜻이야.영어 이름은 Balloon Flower 또는 Bellflower root, '꽃이 풍선처럼 부푸는 모양'으로 유명하지!학명은 Platycodon grandiflorus 특유의 쌉싸름한 맛과 깊은 흙향을 가졌고,기관지, 폐, 목 건강을 다스리는 대표적인 한방차야. 2. 전설과 상징적 이야기(1) 한국 - 도라지꽃 전설 옛날 어느 산골 마을에 효성이 지극한 딸 ‘도라’가 있었대.도라는 병든 아버지를 위해 매일 산에 올라..

레드라즈베리잎차(Red Raspberry Leaf Tea)

레드라즈베리잎차(Red Raspberry Leaf Tea) 아이를 갖고 싶은 여인들이 라즈베리잎 차를 마셔 분만의 고통이 줄고, 아이가 건강하게 태어나 1. 이름의 유래Red Raspberry Leaf는 '붉은 라즈베리 나무(Rubus idaeus)의 잎'에서 온 이름이야.잎은 열매보다 더 진한 영양을 품고 있어!학명 Rubus idaeus는 ‘이디아산의 산딸기’라는 뜻인데,그리스 신화에서 여신들이 사랑했던 식물로 전해져.오랜 세월 동안 여성 건강, 자궁 강화, 생리통 완화에 쓰였어. 2. 전설과 상징적 이야기(1) 고대 켈트족 - 출산의 수호 허브고대 켈트 신화 속에서 레드라즈베리 나무를'여신 디아나(Dianna) 또는 브리짓(Brigid)의 선물'로 여겼어. 전설에 따르면, 여신은 임신한 여인을 보..

귤껍질차, 진피차(陳皮茶)

귤껍질차, 진피차(陳皮茶) 귤껍질을 말려 숙성시켜 만든 차 전통적으로 겨울철 감기, 소화불량, 입덧 등에 많이 쓰여 1. 이름의 유래진피차는 '귤껍질을 말려 숙성시켜 만든 차'로,진피(陳皮)는 ‘오래된 껍질’이라는 뜻이야.오래 묵을수록 약성이 강해지고 기운이 깊어진다고 해.“1년 된 진피는 약, 3년 된 진피는 보약, 10년 된 진피는 귀신도 살린다.”영어로는 “Dried Tangerine Peel” 또는 'Chen Pi Tea'라고 해. 2. 전설과 상징적 이야기(1) 신의녀(神醫女)의 전설 중국 한나라 시절, 어느 산속에 홀로 사는 신의녀(神醫女)가 있었어.그녀는 병든 자를 고치되, 약 대신 귤껍질을 훈증하여 다려 마시게 했대.어느 날, 불치병에 걸린 귀족이 찾아왔고,그녀는 10년이 넘은 진피로 ..

우엉차(Burdock Root Tea)

우엉차(Burdock Root Tea) 곰처럼 강인하고, 쉽게 떨어지지 않는 생명력을 가진 식물 건강식품과 장수 식단의 중요한 재료 1. 이름의 유래우엉(牛蒡)은 한자로 '소(牛)' + '마(蒡)',즉 '소처럼 듬직하고 건강한 뿌리'라는 뜻.영어 이름은 Burdock.'Burr(가시가 달린 열매)' + 'dock(큰 잎사귀를 가진 식물)'의 합성어야.학명은 Arctium lappa.국화과(Compositae/Asteraceae)에 속하며,근육 강화, 간 해독, 피부 정화, 혈액 정화 등에 쓰이는 약용 식물이야. Arctium: 그리스어arktos (ἄρκτος)→ 곰(곰의 풀, 곰처럼 강인한 풀)lappa: 라틴어lappare→ 달라붙다(우엉 열매의 특징, 붙다, 달라붙다)우엉은 거친 들판, 바..

파슬리차(Parsley Tea)

파슬리차(Parsley Tea) 죽음을 상징하는 식물, 죽음을 이겨낸 영웅의 상징 현대에는 디톡스, 생리불순, 항산화 목적 파슬리차는해독, 이뇨, 혈액 정화에 탁월한 허브차야.특히 부종, 생리 전 불편감, 신장 정화에 좋은 허브차야. 1. 이름의 유래파슬리(Parsley)는 라틴어 petroselinum에서 유래됐어.그리스어 petros (바위) + selinon (셀리농, 셀러리류 식물)의미는 '바위 위에 자라는 셀러리'라는 뜻이야.학명은 Petroselinum crispum한국에선 ‘향미나리’, 또는 ‘서양미나리’라고도 불러. 2. 전설과 상징적 이야기 (1) 고대 그리스- 아르케메오스(Archemorus)의 장례와 파슬리 고대 그리스인들은 파슬리를 '죽음과 연결된 신성한 식물'로 여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