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생활건강정보 27

마음의 힘: 노화에 대한 인식과 수명의 상관 관계

마음의 힘: 노화에 대한 인식과 수명의 상관 관계 실험 노화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사람들은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사람들보다 평균 7.5년 더 오래 살았음!     마음이 현실을 바꾼다생각과 인식이 육체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이 실험은 레비(Becca Levy) 예일대 교수의 '노화에 대한 인식과 수명과의 관계'를 다룬 대표적인 연구 중 하나야!1975년, 미국 오하이오 주 옥스퍼드 대학참여자: 650명 이상 ① 실험 개요연구자들은 50세 이상의 성인 650여 명을 대상으로,'노화에 대한 인식이 실제 수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추적 조사했어.참여자들에게 노화에 대해 긍정적 진술 또는 부정적 진술을 제시하고,그에 대한 태도(동의 또는 비동의)를 파악했지. ② 질문 예시“노화는 현명함을 가져온..

마음의 힘: 선택의 힘(Giving Choice) 실험

마음의 힘: 선택의 힘(Giving Choice) 실험 “스스로 결정을 내려라!” – 엘렌 랭어의 자율성과 건강 실험 노인들은  '내가 뭔가를 결정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것만으로도 신체 기능, 감정, 생존율까지 달라지는 결과!   마음이 현실을 바꾼다생각과 인식이 육체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엘렌 랭어(Ellen Langer) 심리학 교수의 1970년대 대표 실험 중 하나, 바로 선택의 힘(Giving Choice)실험이야!이 실험은 자율성(autonomy)과 결정권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심리학 명작이야. “스스로 결정을 내려라!” – 엘렌 랭어의 자율성과 건강 실험 1976년, 미국 코네티컷주 요양원에서 진행대상: 요양원에 거주하는 노인들① 실험 목적은 "작은 선택이라도 스스로 결정하게 하..

잠잘 때 뇌의 상태는 어떨까? (수면주기)

잠잘 때 뇌의 상태는 어떨까? (수면주기)렘 수면(REM sleep), 꿈을 꾸는 시기렘 수면 동안 뇌는 정보를 조직하고 구조화 한다  1. 수면시 뇌의 상태(1) 렘 수면과 비렘 수면 ① 렘 수면(REM sleep): 급속안구운동 수면렘 수면(Rapid Eye Movement sleep):급속안구운동 수면뇌파는 잠자고 있을 때보다 더욱 깨어 있는 것처럼 보여신체는 움직일 수 없어 (눈, 호흡, 근육을 제외)'꿈'이라는 생생하고 사실적인 환상을 만들어 내 (꿈 꾸는 상태)마비된 신체 속에서 활동적이면서 환각을 일으키는 뇌 ② 비렘 수면(non-REM sleep): 서파 수면뇌파는 크고 느린 상태, 서파 수면 (slow-wave sleep)야깊은 휴식을 위한 기간이지부교감신경의 활동이 증가해뇌도 휴식 중이..

치매에 대한 잘못된 믿음과 오해

치매에 대한 잘못된 믿음과 오해만성염증, 활성산소, 포도당조절장애, 지질조절장애 생활습관 개선은 뇌 건강을 위한 유일핚 솔루션이다   '기억의 소멸'은 영혼의 거울로서의 뇌라는 존재를 다시 생각하게 하지.치매 환자의 자아는 사라지는 걸까, 아니면 육체가 기억을 담는 그릇일 뿐일까?이런 질문들이 바로 명상과 영성의 길과도 닿아 있는 부분이야.  1. 치매의 원인은 노화나 유전이다? ① 치매 발견 및 명명  알로이스 알츠하이머(Alois Alzheime,r 1864~1915 )독일의 신경정신과 의사, 신경해부학자. 1906년에 알츠하이머 박사는 기억력 상실, 언어 장애, 방향감각 상실, 이상 행동 등을 보인 환자, 어거스트 디(Auguste D.)의 뇌를 사망 후 해부했고, 그 안에서 지금 우리가 아는 타우..

우리가 자는 동안 일어나는 일들

우리가 자는 동안 일어나는 일들   잠은 에너지와 생명을 충전하는 신성한 시간!수면은 단순히 쉬는 시간이 아니라, 건강한 삶을 유지하고, 감정의 정화와 뇌 기능 회복, 몸의 회복까지 도와주는 중요한 생리 현상이야. 1. 수면의 기능① 회복(restoration)수면 박탈은 육체적, 행동적 문제를 야기시켜수면을 통해 신체의 휴식과 대뇌피질의 휴식이 모두 필요해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수면을 효과적으로 준비해야 해② 적응(adaptation)수면은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한 적응 과정이야자는 동안 신체는 단지 생명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만 일해 (기초대사량 정도만 소비)체온을 떨어뜨리고(체온 조절 기능의 약화), 칼로리의 사용률도 낮게 유지하지 💜기초대사량(BMR)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어도 몸이 생..

우리는 왜 자는가? 잠의 중요성과 회복수면

우리는 왜 자는가? 잠의 중요성과 회복수면회복 수면과 인지 건강은 밀접한 연관성 적당한 수면시간은  7~8시간이지만 개인차 있어   1.우리는 왜 자는가? 수면의 필요성사람은 대략 인생의 3분의 1을 수면으로 보낸다고 해잠을 자지 않고 8시간 동안 침대에서 휴식을 취한다면? 그건 고문이 될거야~인지장애는 수면 박탈 때문에 생기는 가장 즉각적이고 명백한 결과야수면은 먹는 것, 호흡하는 것에 비교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해  2. 수면이 수면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1. 기억력과 학습 능력잠이 부족하면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 과정이 방해돼.깊은 수면 중(특히 비렘수면 단계)에 뇌는 중요 정보를 정리하고 기억으로 저장해.수면이 부족하면 공부를 해도 잘 안 외워지고, 쉽게 잊어버리게 돼. 2. 집중력과..

21세기의 독, 설탕과 뇌기능

21세기의 독, 설탕과 뇌기능 지질, 단백질, DHA까지 손상시켜서 노화를 촉진 아밀로이드 플라크 형성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원인    1. 설탕이 몸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인지건강과 혈관 건강을 앗아간다.대사증후군과 관련된 모든 질환(고혈압, 고지혈증, 인슐린저항, 당뇨)을 야기하고 악화시킨다.대사증후군은 뇌질환과 심장질환의 위험 요인이 된다.설탕이 간에 미치는 독성은 알코올의 독성과 유사하다.설탕은 지질, 단백질, 심지어 DHA까지 손상시켜서 노화를 촉진한다.설탕은 모든 가공식품에 들어간다.설탕의 다른 이름은 옥수수 감미료, 옥수수 시럽, 과일주스 농축액, 액상 과정, 스크로스, 과당, 덱스트로스, 고과당 시럽, 전화당, 락토스, 말토스, 원당, 조당, 흑설탕, 아가베 시럽, 메이플 시럽 등 2...

알츠하이머성 치매 위험 평가 요인

알츠하이머성 치매 위험 평가 요인  치매 위험요인은 변경 가능한 요인과 그렇지 않은 요인으로 구분될 수 있어 치매 보호요인을 강화시키면 치매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볼 수 있어  1.알츠하이머 치매위험 평가치매 위험요인은 변경 가능한 요인과 그렇지 않은 요인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치매 보호요인을 강화시키면 치매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해.  (1)변경이 불가능한 위험요인(나의 노력과는 상관없는 고정적인 요인)나이/ 질환 및 유전자 ① 나이65세 이하 : +1점65~69 : +2점70~74 : +4점75~79 : +8점80~84 : +16점85세 이상 : +32점65세 이상의 나이에서 알츠하이머 또는 치매가 있었던 가족이 있을 때, 아버지(+4점), 어머니(+4점), 형제자매(각 구성원마다 ..

뇌건강에 좋은 지방은 어떤걸까?

뇌건강에 좋은 지방은 어떤걸까?식물성 불포화지방산,  오메가-3   1. 구석기 식단(Paleo Diet)이란?'팔레오 식단(Paleo Diet)'이라고도 불려.원시 인류, 특히 구석기 시대(약 250만 년 전~ 약 1만 년 전 농업 혁명 이전까지)의 식습관을 현대적으로 재현한 방식이야. 인류가 사냥하고 채집하던 시절의 식생활로 돌아가자는 철학이 담겨 있지. 인류의 유전자와 생리 구조는 구석기 시대와 큰 차이가 없다는 전제농업혁명 이후 생긴 식품들(정제된 곡물, 설탕, 가공식품 등)은 우리 몸에 맞지 않는다고 봐.그래서 자연 그대로의 음식, 가공되지 않은 음식을 먹는 게 핵심이야.  ① 기본 원칙구석기 인류가 먹던 대로 채소, 과일, 견과류, 근채류, 고기, 계란, 좋은 지방을 먹는다구석기 시대에 없었던..

기억을 관장하는 해마(hippocampus) 명상의 효과

기억을 관장하는 해마(hippocampus) 와 명상의 효과해마는 기억을 관장하는 뇌의 중요한  영역만성 스트레스 상태에서 해마의 크기가 감소해  1. 해마(hippocampus) 와 기억, 인지기능1) 해마의 크기는 기억, 인지기능과 연관성 있어해마는 기억, 인지기능과 밀접한 관계해마 크기가 클수록 기억력, 인지적 기능이 높아져해마의 크기가 위축, 왜소화 되는 것은 치매의 발전과 연관되어 있어 2) 해마 크기의 빠른 감소는 치매로의 전환, 인지기능의 저하를 암시경도인지장애는 해마 크기의 빠른 감소를 보이며, 알츠하이머성 치매로 전환될 수 있어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모두 해마크기의 빠른 감소를 보이며, 인지기능이 빠르게 저하된다. 3) 해마 크기가 유지되면 치매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사례들의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