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 94

'뇌파진동'에 의한 뇌 구조의 변화, 내측 전전두엽 (mPFC)

'뇌파진동'에 의한 뇌 구조의 변화, 내측 전전두엽 (mPFC) 뇌파진동 명상 수행자의 내측 전전두엽이 구조적으로 두꺼워져감정과 기억, 자아를 통합함. 인지기능의 향상에 도움 (1) 뇌파진동 명상에 의한 뇌구조의 변화 뇌파진동 명상을 꾸준하게 수행해 온 그룹에서, 다양한 인지기능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 내측 전전두엽 (mPFC) 의 회색질, 백색질이 두꺼워졌어. 내측 전전두엽은 시상이나 편도체, 해마 등 피질의 하부영역들과 고도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연구들은 정상적 노화만 아니라,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혈관성 인지장애와 같은 신경인지질환의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MN) 에서, 내측 전전두엽의 기능적 연결성의 이상과내측 전전두엽에서의 구조적 위축을 일관되게 보고하고 있어. (Jobson 2021..

동적명상 2. 소마틱스(Somatics)

동적명상 2. 소마틱스(Somatics) 소마틱스(somatics), 몸에 대한 의식적인 감각을 통해 자기 주권을 되찾는 과정 트라우마 치료, 에너지 요법, 요가, 명상과 통합되어 폭넓게 확산됨 1. 소마(soma), 존재 전체를 경험하는 몸 (1) 소마(soma)는 고대 그리스어 ‘σῶμα (sōma)'에서 유래원래는 '몸, 신체'를 의미했지만,단순한 육체(body) 가 아닌, '살아 있는 몸, 의식하는 몸'을 뜻해. (2) 현대 소마틱스에서의 소마(soma)는"의식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살아있는 몸'을 의미해.기계적인 동작을 하는 '육체(body)' 와는 달리,감정, 기억, 직관, 에너지, 의식까지 포함된 나라는 존재 전체를 경험하는 몸이야.소마틱스(Somatics)는 단순한 운동법이나 치료법..

지지 묘목(卯木)

지지 묘목(卯木)봄의 꽃과 풀, 생명이 만개하는 자연의 생명력화초, 정원, 덩굴, 작은 나무, 싱그러움, 조화, 생기   12지지에서 4번째, 묘목(卯木)에 대해  알아보자! 1. 묘목(卯木) 완벽 정리지지 순서4번째음양음(陰)오행목(木)조후봄 한가운데, 따뜻하고 습한 목기지장간갑(甲)10, 을(乙) 20계절봄의 절정기달(월)양력 3월 (음력 2월) / 경칩, 춘분시간묘시 (05:30 ~ 07:30)방위정동(正東)띠토끼띠 삼합해(亥) + 묘(卯) + 미(未) = 목(木) 삼합방국동방 목국 (寅·卯·辰)충(沖)묘유충(卯酉沖)형(刑)자묘형 2. 상징적 의미봄의 꽃과 풀, 생명이 만개하는 자연의 생명력화초, 정원, 덩굴, 작은 나무, 싱그러움, 조화, 생기감성, 예술성, 친화력, 성장, 순수함조용하지만 뚜렷한..

명상과 스트레스, 인지건강

명상과 스트레스, 인지건강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과다 분비되면 뇌의 해마를 손상시켜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심리적 회복탄력성(Resilience)도 약해져   인지건강의 최대 적은 스트레스!우리 몸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코르티솔이라는 호르몬이 막 솟구쳐 올라.코르티솔은 기억력, 집중력, 감정 조절력을 다 망가뜨리는 주범이야! 1. 스트레스가 주는 부정적인 효과 불안과 우울면역 기능 저하주의력 저하염증 발생산화 부산물 증가뇌 위축베타-아밀로이드 증가 ① 기억력 저하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과다 분비되면 뇌의 해마(기억 담당 부위)를 손상시켜 "어? 내가 뭘 하려고 했지?" 장기적으로 단기기억과 학습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 ② 집중력 & 주의력 감소스트레스 상황에서는 뇌가 생존 모드에 들어가기 때문에사소..

신체 활동과 인지 기능

신체 활동과 인지 기능 향상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을 같이 수행하면 다양한 종류의 인지기능이 향상돼앉아있는 생활방식은 인지기능을 감소시킨다. (1) 신체활동은 인지기능을 향상시킨다. ‘슈퍼시니어’란, 80세 이상이면서 주요 노인성질환 없이, 80~90대 나이에도 활발한 신체활동과 활력있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말해. 다양한 연구결과들은 '신체활동의 증가가 치매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말하고 있어. 치매환자들의 경우, 약물 치료를 하면서도 추가적으로 신체활동 같은 비약물적 치료를 시행하여 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해. 신체활동이 적절하게 증가하면, 치매의 위험이 낮아진다고 해. 실제로 802명의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신체활동과 인지기능 간의 인과관계를 조사한 18개의 무작위 비교 연구들을 메타..

인지(Cognition)기능과 인지훈련, 뇌손상

인지(Cognition)기능과 인지훈련, 뇌손상주요 인지기능은 주의력, 기억력, 언어 능력, 시공간 구성 능력, 실행 능력인지기능에서 중요한 뇌의 부위는 대뇌피질과 해마   1.인지(Cognition)란 무엇인가? ① 인지(cognition) : 인식하고 이해하며, 판단하고 결단하는 모든 과정정보를 인식하고, 이해하고, 기억하고, 판단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정신활동 전반을 말해. 쉽게 말하면우리가 무언가를 보고,그걸 이해하고,기억하거나,판단하고 결정하는 그 모든 과정이 바로 '인지(Cognition)'야!주의집중, 기억, 계획수립, 조직화, 사고의 유연성, 시공간 능력, 언어, 추상화, 통찰력, 추리력, 문제해결, 판단 기능, 실행기능 등을 포함  ② 초인지(metacognition) : '사고하는 것을..

동적 명상 1: 알렉산더 테크닉(Alexander Technique)

동적 명상 1: 알렉산더 테크닉(Alexander Technique) 일상동작 속 나도 모르게 몸 쓰는 습관을 알아차리게 도와줘 멈추기(pause), 선택하기, 의도하기 등 행동을 의식적으로 선택하는 연습을 해   1. 내가 몸 쓰는 습관을 인식한다알렉산더 테크닉(Alexander Technique)은 우리가 일상 속에서 몸을 쓰는 습관을 인식하고,더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움직임으로 바꾸도록 돕는 몸-마음 교육 방법이야.특히 자세, 균형, 움직임, 호흡에 집중하는데,일상에서 무심코 하는 '나쁜 습관'들이 통증, 피로, 긴장 등을 유발한다고 보고, 이를 ‘다시 배우는 것’이 핵심이야.  (1) 누가, 왜 만들었을까프레데릭 매서니스 알렉산더 (Frederick Matthias Alexander)라는 오스트레일..

지지 인목(寅木)

지지 인목(寅木)싹이 트는 새벽, 큰 나무가 자라나는 기운시작, 도전, 개척, 추진, 리더십, 상승의 기운   12지지에서 세번째 인목(寅木)은 봄의 문을 여는 양목(陽木)이야.호랑이의 기상을 담은 도전과 개척의 기운이에요!  1. 인목(寅木) 완전 정리지지 순서3번째음양양(陽)오행목(木)조후봄기운의 시작, 건조하고 아직은 추운 이른 봄의 목기지장간무(戊)7, 병(丙)7,갑(甲)16계절봄의 시작 (양기의 상승, 생명의 탄생기, 성장과 시작의 에너지)달(월)양력 2월 (음력 1월)/ 입춘, 우수시간인시 (03:30 ~ 05:30)방위동북동 (정확히는 동북방 60°)띠호랑이띠 삼합인(寅) + 오(午) + 술(戌) =  화(火) 삼합방국동방 목국 (寅·卯·辰) 충(沖)인신충(寅申冲)형(刑)인사신 삼형, 인사형..

동적명상 6: 국학기공(國學氣功)

동적명상 6: 국학기공(國學氣功) 국학기공은 '자연과 인간이 하나'라는 천지인(天地人) 사상고대 선도 수련법(丹學)과 현대 뇌기반 명상법(뇌교육)의 융합 1. 국학기공이란? 국학기공은 '인간과 자연이 하나'라는 천지인(天地人) 사상에서 나왔어.구체적인 수련법은 고대 한민족의 선도 수련법(단학, 丹學)과 현대 뇌과학을 기반으로 한 뇌기반 명상법(뇌교육)이 융합된 거야. 국학기공은 수행을 통해 인간의 순수함과 도덕성을 회복하고,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하고 평화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해. 국학기공명상은 ‘몸 - 에너지(기) - 마음’을 일치시켜 몸과 마음의 건강 회복, 뇌의 잠재력 개발을 추구하는 한국식 통합 명상법이야. 2. 역사적 배경고대반 만년전 배달국, 단군조선 시대부터 전해 내..

마음의 힘: 시계 거꾸로 돌리기(Clockwise Study)

마음의 힘: 시계 거꾸로 돌리기(Clockwise Study) '마음이 현실을 바꾼다'는 심리학적 가능성노화는 단지 시간의 흐름이 아니라,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에 달렸다    1979년 엘렌 랭어의 ‘시계 거꾸로 돌리기 실험(Clockwise Study)’은심리학, 건강, 심지어 시간과 노화에 대한 인식까지 통째로 흔들어버린 전설적인 실험야!  ① 배경1979년, 하버드대 심리학자 엘렌 랭어(Ellen Langer)는'생각과 인식이 육체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라는 물음에서 시작해 이 실험을 고안했어.  ② 실험 방식참가자: 70~80대 노인, 8명장소: 1959년으로 완벽히 꾸며진 공간 (신문, TV, 음악, 소품 모두!)조건: “여기는 1959년이다”라고 인식하고 생활하도록 유도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