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 뇌를 젊게 하는 명상
명상하는 사람의 '뇌'는 일반인에 비해 뇌 나이가 훨씬 젊다
명상하는 사람의 뇌가 일반인에 비해 노화에 따른 뇌 회백질 위축이 적다
1. 뇌의 노화와 치매
1) 대한민국, 초고령사회 진입, 치매 위험도 증가
-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 중에서 10명 중 1명 꼴로 치매에 걸림
- 2025년, 우리나라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며 전체 인구의 5분의 1명이 65세 이상 노인
2) 노화하면서 우리 뇌도 수축한다.
- 건강한 사람도 노화하면서 뇌가 형태학적 변화를 일으킨다.
- 뇌의 피질(회백질)이나 백색질이 위축되어, 뇌실이 더 넓어지거나, 전체 뇌가 수축하고 변형을 일으킨다.
3) 치매환자는 뇌의 노화 속도가 더 빠르다.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들의 뇌는 건강한 사람들의 뇌에 비해 노화(즉, 뇌의 수축 정도)가 더 가속화된다.
2. 명상과 뇌의 나이
1) 명상하는 사람의 뇌는 일반인에 비해 뇌 나이가 젊다.
중년은 노화과정이 두드러지게 관찰되는 시기다. (MRI 뇌 사진 분석에 의한 뇌 나이 계산)
- 실제 나이가 51세인 명상하는 사람(평균 20년 명상)와 일반인의 뇌 나이를 분석한 결과, 명상자의 뇌 나이가 명상을 하지 않은 일반인에 비해 7.5년 더 젊은 것으로 나타났다.
- 50세 이후의 뇌 노화속도는 명상을 하지 않은 일반인의 뇌가 더 가속화된다.
- 명상자가 일반인에 비해 노화에 따른 뇌 회백질 위축이 적다
- 명상을 하지 않은 일반인의 뇌 회백질 위축이 더 가속화 되고, 나이에 따른 노화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뇌 가소성, 반복된 수행을 통한 수초(myelin) 구조의 변화
- 키 큰 기린이 빠르게 달릴 수 있는 이유: 기린은 초식동물이고 키가 4m~5m로 아주 크다. 다리도 길다. 그런데 야생에서 천적인 사자를 보면 순간적으로 빠르게 달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신경계에 정보전달이 빨리 될 수 있도록 특별한 수초 (myelin) 구조를 발달시켰기 때문.
- 수초(myelin)구조는 신경세포의 축색을 감싸고, 감싼 부분을 절연상태로 만들어 신경세포에서 흐르는 전기적 신호를 비약 전도가 가능하게 만들어, 정보전달을 촉진시킨다. 우리 뇌에서 자주, 많이 사용하는 신경회로의 수초 구조는 더 두꺼워지거나 길어지는 등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뇌의 기능적 변화를 만들어낸다. (뇌 가소성)
- 예를 들어, 자전거를 배울 때, 처음에는 서툴지만 계속 연습하다 보면 나중에는 몸의 균형을 잡게 되고, 페달을 밟는 속도도 빨라지게 된다. 이것은 반복된 수행을 통해 우리 뇌에서 자전거를 탈 때 쓰여지는 뇌의 영역의 신경연결망의 수초 구조가 두꺼워지면서 정보전달의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 신경세포의 축색을 감싸는 수초는 지질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있어서, 수초 구조가 많은 부위는 상대적으로 하얗게 보여 ‘백색질’이라고 불리운다. 반면, 신경세포의 세포체가 많은 부분은 ‘회백(회색)질’이라고부른다.
- 뇌 영상 이미징 기술의 발달로 백색질과 회색질의 구조를 촬영할 수 있게 되면서, 노화와 질병에 따른 각 구조의 변화와 명상에 의한 영향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 수초 구조가 기본적인 정보전달 속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구조가 많은 백색질은 효과적인 인지기능에 필수적이며, 인간의 행동과 학습의 기저가 된다.
3. 노화, 치매에 따른 백색질 변화
1)나이가 들수록 백색질 온전성이 감소된다.
정상적인 노화과정에서, 백색질의 온전성 소실은 회색질의 온전성 소실 이전부터 관찰된다.
특히, 30대에서 50대 사이에 백색질의 온전성 감소가 전형적으로 시작되고, 나이와 함께 가속화된다.
2) 치매에서도 백색질 붕괴가 관찰된다.
치매에서도 백색질의 붕괴는 회색질의 위축에 선행되어 관찰된다.
이것은 알츠하이머성 치매에서 가장 이른 병리 변화 중 하나다.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연관한 인지능력 저하와 관련이 있고, 초기 치료의 타겟으로서 간주된다.
4. 명상과 백색질
1) 명상은 백색질 온전성을 향상시킨다.
- 명상하는 사람은 일반인에 비해 더 높은 백색질 온전성을 보인다.
- 명상하는 사람은 일반인에 비해 나이에 따른 백색질 감소가 덜 두드러진다.
- 10년 이상 명상을 한 사람은 뇌 네트워크 전체에서, 더 많은 회색질과 백색질, 더 두꺼운 피질, 더 많은 대뇌피질 표면의 주름을 발견할 수 있다.
- 20년 이상 명상을 한 사람은 뇌량의 백색질이 더 두껍다.
따라서 오랜 기간 꾸준한 명상 활동이 노화에 따른 뇌의 나이 감소를 예방하거나 지연시킨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발견들은 뇌의 수축과 기능 감소가 발견되는 노화의 현상과 반대되는 현상으로,
명상자에게서 노화에 따른 뇌의 나이 감소가 예방되거나, 지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명상은 전체적으로 뇌의 물리적 구조를 변화시키는 뇌훈련, 뇌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생활건강정보 > 뇌기반 명상치료(Meditation Therap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을 관장하는 해마(hippocampus) 명상의 효과 (0) | 2025.04.08 |
---|---|
경도인지장애(MCI)와 명상 (1) | 2025.04.08 |
명상과 뇌섬엽(Insular Cortex), 메타인지 (2) | 2025.03.30 |
감정을 관리하는 훈련, 명상 (0) | 2025.03.30 |
일상 속 가벼운 호흡 명상법 (1)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