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 스타틴계 약물(Statins)
간에서 콜레스테롤을 합성하는 효소를 억제해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
1. 스타틴계 약물이란?
-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로,
- 간에서 콜레스테롤을 합성하는 효소를 억제해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약이에요.
대표 약물 이름 (성분 기준):
-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
- 심바스타틴(Simvastatin)
-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등
2. 주요 효과
LDL 콜레스테롤 감소 | 최대 30~60%까지 낮출 수 있어요 |
총 콜레스테롤·중성지방 감소 | 혈관 건강 개선 |
HDL 콜레스테롤 증가 | ‘좋은 콜레스테롤’ 소폭 상승 |
죽상동맥경화 예방 |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 |
염증 감소 효과 | CRP 수치 감소 → 심혈관계 보호 시너지 |
3. 복용 시 주의점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 | 보통 저녁 식사 후 또는 취침 전 복용 권장 (콜레스테롤 합성은 밤에 활발함) |
자몽 주스 금지 | 자몽이 대사효소(CYP3A4)를 억제해 약물 농도 급증 → 부작용↑ |
간 기능 검사 필수 | 간에서 대사되므로 복용 초기 및 정기적으로 검사 필요 |
충분한 수분 섭취 | 근육통 예방과 대사 보조 |
무리한 운동 자제 | 근육 관련 부작용 위험 증가 가능성 있음 |
4. 부작용 및 장기 복용 시 문제
근육통, 근육 약화 | 가장 흔한 부작용 (Myalgia), 심하면 횡문근융해증 가능성 |
간 수치 상승 | 간 효소(AST/ALT) 증가 →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 필요 |
혈당 상승 | 당뇨병 발생 위험 증가 (고위험군에서 관찰됨) |
기억력 저하/두통 | 드물지만 일부 환자에서 보고됨 |
코엔자임 Q10 감소 | 에너지 생성 저하 → 피로, 근육통 유발 가능성 있음 (필요시 보충제 고려) |
◎ 횡문근융해증이란?
횡문근(뼈에 붙어 몸을 움직이는 근육)이 손상되어
그 안에 있던 단백질과 전해질 등이 혈액 속으로 대량 유출되면서
신장(콩팥)이나 심장 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야.
즉, 근육이 녹아서 혈액 속으로 퍼지는 상태라고 보면 돼
◎횡문근이란?
- 우리가 의식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수의근
- 팔, 다리, 가슴, 등, 복부, 허벅지 등에 주로 분포
- 근육 안에는 미오글로빈(myoglobin), 칼륨, 인 등 다양한 물질이 들어 있어
- 이게 혈액으로 나오면 독성 + 전해질 불균형 → 신장, 심장에 부담!
5. 스타틴을 복용할 때, 보완요법
스타틴을 복용 중일 때 꼭 함께 고려해야 할 보완요법을 알아보자.
(1) 코엔자임 Q10(CoQ10) 보충
- 스타틴은 간에서 콜레스테롤과 함께 CoQ10도 억제해버려요.
- CoQ10은 세포의 에너지 생성과 심장·근육 보호에 중요한 영양소예요.
보충 가이드
- 하루 100~200mg 복용 권장
- 섭취 시간: 식사 직후 (지용성이라 흡수율 높음)
- 천연 식품: 정어리, 고등어, 닭심장, 땅콩, 브로콜리, 시금치
효과
- 근육통·피로감 완화
- 심혈관 보호
- 에너지 회복 도움
(2) 항산화 식품 섭취
- 스타틴의 간 대사 과정에서 활성산소가 증가할 수 있어요.
- 항산화 영양소는 세포 보호, 염증 감소, 간 해독을 도와줘요.
추천 식품 리스트
폴리페놀 | 녹차, 딸기,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적포도 |
라이코펜 | 토마토, 수박 |
퀘르세틴 | 양파, 사과, 케일 |
글루타치온 촉진 | 아보카도, 마늘, 브로콜리, 양배추 |
알리신 | 마늘 (생으로 소량 섭취 시 효과↑) |
(3) 운동 요법: 부드럽고 꾸준하게
스타틴 복용 시 운동의 핵심은?
- 과도한 운동은 금물, 특히 스타틴 복용 초기엔 근육 손상 위험이 있어요.
- 그러나 가벼운 운동은 HDL↑, 중성지방↓, 근육통 예방에 도움이 돼요!
- 근육통 주의 부위: 종아리, 허벅지, 어깨, 등
(4) 스트레스 관리 + 숙면
- 스트레스는 코티솔 증가 → 내장지방 축적 → 지질대사 악화
- 수면 부족은 혈중 중성지방↑, LDL↑, 인슐린 저항성↑
실천 팁
아로마 테라피 | 라벤더, 베르가못 오일을 사용한 수면 유도 |
명상 5분 루틴 | 저녁에 ‘감사 호흡 명상’으로 마음 진정 |
숙면 준비 루틴 | 수면 1시간 전 스마트폰 OFF, 따뜻한 허브차 (카모마일, 레몬밤) 마시기 |
온욕 | 잠자기 전 38~40도 욕조에 10~15분 담그기 → 체온 리듬 회복 |
(5) 간과 신장을 위한 디톡스 식단 요소
- 스타틴은 간에서 대사되며, 소량은 신장을 거치므로
간 기능 보조, 노폐물 배출 촉진이 중요해요.
추천 식품: 장기 해독 식품
간 | 비트, 울금(강황), 양배추, 브로콜리, 시금치, 연근 |
신장 | 옥수수 수염차, 팥, 검정콩, 우엉, 마, 토마토 |
- 물은 하루 1.5~2L 이상, 식간 위주로 꾸준히!
6. 부작용 예방 체크리스트
근육통, 피로감이 지속된다 | ☐ 주치의에게 보고 / CK 검사 권장 |
어두운 소변, 황달 증상 | ☐ 간 기능 검사 필요 |
식욕 저하, 구역감 | ☐ 간 관련 부작용 확인 필요 |
약 복용 시간 놓쳤을 때 | ☐ 같은 날 놓쳤다면 건너뛰고 다음 날 정상 복용 |
'모든 생활건강정보 > 뇌와 인지,생활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기(Common Cold), 독감(Influenza), 코로나19(COVID-19) (1) | 2025.07.09 |
---|---|
관절염(Arthritis) (0) | 2025.07.09 |
고지혈증(High Cholesterol, Dyslipidemia) (3) | 2025.06.28 |
인후염(咽喉炎, Pharyngitis) (2) | 2025.06.26 |
방광염(膀胱炎, Cystitis) (0)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