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성학의 세계/사주명리학의 원리: 기초과정

근묘화실(根苗花實)

하늘꽃별나무바람 2025. 4. 23. 11:00

근묘화실(根苗花實)

인생 전반을 자연의 성장과정에 비유 (식물의 성장과정)

인생의 각 단계에서 역할, 성장과제와 삶의 방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

 

 

 

 

근묘화실(根苗花實)은 사주명리학에서 중요한 철학적 개념이야.

인생 전반을 자연의 성장과정(식물의 성장)에 비유해서 사주팔자의 흐름을 파악하고,

인생주기(나이)에 따른 역할과 삶의 과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이론이지.

 

1. 근묘화실(根苗花實)의 의미

뿌리 씨앗이 내리는 뿌리 어린 시절, 삶의 기반 형성기 (0~19세)
싹, 묘목 뿌리에서 싹이 올라옴 학습기, 성장하고 자라는 시기 (20~35세)
묘목이 꽃을 피움 개화기, 왕성한 사회활동 및 성취시기 (36~60세)
열매 꽃이 열매를 맺음 결실기, 완성과 정리의 시기 (60세 이후)

 “인생은 식물처럼 생장과 소멸의 시기를 겪게 되며,

인생의 각 시기별로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 성장과과제가 있다”는 걸 뜻해!

 

 

2. 유래와 철학적 배경

근묘화실은 동양의 자연철학유가적 인생관을 바탕으로 형성된 개념이야.
주역(周易), 한의학, 음양오행, 농사력과 연결되어 있어.

  • 자연 순환의 원리: 생장(生長), 개화(開花), 결실(結實), 수장(收藏)의 흐름
  • 유교 윤리: 근본을 바로 세우고, 도리를 다해 열매 맺는다
  • 농경사회 경험: 씨 뿌리고, 자라며, 꽃 피고, 열매 맺는 순환 구조에 비유한 인생관

 

3. 특징

순환적 시간 구조 봄(근묘), 여름(화), 가을(실), 겨울(휴식기)의 순환과 연결
나이별 인생과정 각 시기별 적절한 역할, 성장과제가 있고, 흐름에서 어긋나면 삶이 고단하고 결실이 약해짐
사주의 운세 흐름과 연결 대운, 세운이 어떤 시기에 어떤 오행의 에너지를 주는지 해석 가능 (행운과 불행) 
자기 이해의 도구 '나는 지금 어떤 단계에 있으며, 어떤 역할을 해야하는지', 자각과 성찰을 유도함

 

사주란, 연주(뿌리)  →  월주(줄기)  →  일주(꽃)  → 시주(열매)로 갈수록 

시간의 흐름을 따라서,

'생명의 순환, 인간의 성숙, 성장과제의 실현'이 상생상극으로 이어지게 돼. 

 

  • 연주는 뿌리 → "나의 뿌리, 나는 어디서 왔는가?"
  • 월주는 줄기 → "나는 어떤 가족 환경에서 자라고, 어떤 사회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는가?"
  • 일주는 꽃 → "나는 누구인가? 어떤 사람인가?"
  • 시주는 열매 → "인생에서 무엇을 남기고 떠날 것인가?"

 

4. 활용법 : 나이와 대운 흐름에 따른 근묘화실 판단

  • 0~19세: 근(根)
    조상의 도움, 유년운, 부모운, 생애 초기의 기반, 조후 문제 등 체크
    예: 조후가 맞지 않으면 유년기에 질병, 학습부진

 

  • 20~35세: 묘(苗)
    학업운, 직업 훈련, 사회생활의 시작. 적성과 기질에 맞는 진로를 선택해야
    예: 식상운이 오면 자기표현 능력이 향상되어 진로 탐색에 활발

 

  • 36~60세: 화(花)
    사회적 성취, 성공과 명예, 직장, 결혼, 사업 등에서 활동이 가장 왕성한 시기 
    예: 정재, 정관 운이 강하면 가정과 직장에서 안정된 역할 수행

 

  • 60세 이후: 실(實)
    결실, 은퇴, 재산관리, 건강관리, 자식운, 후진 양성의 시기
    예: 인성운이 들어오면 노년의 내면 수양, 건강 중시, 가족 돌봄으로 전환

 


  근(根) 묘(苗) 화(花)  실(實)
  사회 생활 중심(사회성) , 나의 환경적 요소, 사회가 주체 개인 생활 중심(개인성), 내가 주체
자연적 의미 뿌리 싹, 여린 줄기 꽃이 피어남 열매를 맺음
사주 구성 연주 (年柱) 월주 (月柱) 일주 (日柱) 시주 (時柱)
인생 단계 탄생~ 유년기(0~19세) 성장기 (20~35세) 성숙기 (36~60세) 결실기 (60세 이후)
궁성/인연 조상·조부모·부모 부모·형제·스승 나(본인)·배우자 자손·후배·후세
환경 태생적 배경, 조상력 성장 및 교육 환경 나(일간)의 개인적 삶 내면정리, 인생 성과, 마무리
하루 시간대 새벽~이른 아침 아침~점심 전 정오~오후 저녁~밤
지역/거리감 고향, 먼 곳 학교·성장터 집, 가까운 공간 미래, 바깥세상
사회적 역할 뿌리, 본능, 유전 성장, 사회 적응, 직업활동 나의 정체성, 결혼, 배우자  자식, 후배, 삶의 결실, 마무리

 

 

인생을 '근묘화실'로 바라본다는 건, “지금 나는 어느 시기에 와 있고,

이 시기의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를 스스로 묻고,

삶의 균형을 점검하고,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