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매화)
노자 이야기- 11장. 서른 개의 바퀴살이..(三十輻),
12장. 오색은 사람의 눈을 멀게 하고..(五色令人目盲)
출처 및 참고 문헌- 1. 대산 김석진, 수산 신성수, 『주역으로 보는 도덕경』, 대학서림
2. 이아무개 대담, 정리, 『무위당 장일순의 노자 이야기』, 삼인)
11장. 서른 개의 바퀴살이..(三十輻)
三十輻, 共一轂, 當其無, 有車之用, 埏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
鑿戶牖以爲室, 當其無, 有室之用, 故, 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삼십복, 공일곡, 당기무, 유거지용, 선식이위기, 당기무, 유기지용,
착호유이위실, 당기무, 유실지용, 고, 유지이위리, 무지이위용
"서른 개의 바퀴살(三十輻)이 하나의 바퀴통에 모여 있는데 (共一轂),
거기가 비어 있어서 (當其無) 수레의 쓰임이 있다. (有車之用)
진흙을 이겨 그릇을 만드는데, (埏埴以爲器)
거기가 비어 있어서 (當其無) 그릇의 쓰임이 있다. (有器之用)
문과 창을 뚫어 집을 만드는데, (鑿戶牖以爲室)
거기가 비어 있어서 (當其無) 집의 쓰임이 있다. (有室之用)
그러므로 있는 것(有)이 이롭게 쓰이는 것은 (有之以爲利)
없는 것(無)의 쓰임이 있기 때문이다. (無之以爲用)"
※Tip!- '삼십복 공일곡 당기무 유거지용 三十輻 共一轂 當其無 有車之用'
서른 개의 수레바퀴 살(三十輻)이 한 개의 수레바퀴통에 모아져 있는데,(共一轂)
그 중간에 아무 것도 없는 곳에(當其無)
굴대가 끼워져 수레로 쓰일 수가 있게 된다, (有車之用)
마찬가지로, 진흙을 빚어서 그릇을 만들 때(埏埴以爲器)
그 안에 비어있는 공간이 있어서(當其無)
무언가를 담을 수 있기 때문에, 그릇으로 쓸 수가 있다.(有器之用)
문을 내고 창을 뚫어서 방을 만들 때(鑿戶牖以爲室)
방 안에 빈 공간이 있어서(當其無)
방으로 쓸 수가 있다, (有室之用)
여기서 '당기무當其無'의 '무無'는 '비어있다(虛, 空)'는 의미다.
※Tip!- '유지이위이 무지이위용 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것, 형체를 가진 것(有)의 쓰임새나 이로움(利)은 잘 알고 있지만,
그것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것, 형체가 없는 것(無)의 작용(用)으로 인해서
그 쓰임새가 발휘되고 있다는 것은 잘 인식하지 못한다.
허공이 비어 있기에 새들은 하늘을 자유롭게 날고
바람이 불고 만물이 숨을 쉰다.
그러므로 '비어있음(無, 虛, 空)' 은 쓸모(用)의 바탕이 된다. (無之以爲用)'
이것을 '무無의 작용(用)'이라 한다.
그리하여 有는 (無로 말미암아) 이롭게 쓰이게 된다.
그래서 '유有는 이로움의 바탕'이 된다. (有之以爲利)
12장. 오색은 사람의 눈을 멀게 하고..(五色令人目盲)
五色, 令人目盲, 五音, 令人耳聾, 五味, 令人口爽, 馳騁畋獵, 令人心發狂,
難得之貨, 令人行妨, 是以, 聖人, 爲腹, 不爲目, 故, 去彼取此
오색, 영인목맹, 오음, 영인이롱, 오미, 영인구상, 치빙전렵, 영인심발광,
난득지화, 영인행방, 시이, 성인, 위복, 불위목, 고, 거피취차
"온갖 색깔(五色)이 사람을 눈 멀게 하고, (令人目盲)
온갖 소리(五音)가 사람을 귀 먹게 하고, (令人耳聾)
온갖 맛(五味)이 사람의 입을 상하게 한다. (令人口爽)
말 달리며 사냥하는 것(馳騁畋獵)은 사람의 마음을 발광하게 한다. (令人心發狂)
얻기 어려운 재화(難得之貨)는 사람의 행동을 그르치게 한다. (令人行妨)
그러므로 성인은 배를 위하고(爲腹) 눈을 위하지 않는다.(不爲目)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한다. (去彼取此)"
※Tip!- '오색영인목맹 五色令人目盲', '오음영인이롱 五音令人耳聾', '오미영인구상 五味令人口爽'
온갖 색깔(五色), 온갖 소리(五音), 온갖 맛(五味)은
문명 세계의 화려함과 '여러 가지 말초적이고 감각적인 자극들'을 뜻한다.
인간이 이러한 물질 세계의 '오감五感을 자극하는 감각적 대상들'에 빠지게 되면
눈 멀고, 귀 멀고, 건강한 입맛조차 잃어버리게 된다.
그리하여 참된 가치를 보지 못하게 되고, 진실한 소리를 듣지 못하게 되고,
담담한 맛을 잃게 된다.
그 결과,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데 꼭 필요한 '가장 근본이 되는 것(腹, 道)'을 잃어버리게 된다.
※Tip!- '성인 위복 불위목 聖人爲腹不爲目'
聖人은 '삶을 영위하는데 가장 근본이 되는 것(腹, 道, 본성)'을 위하고,
'근본이 아닌 것(目, 욕망, 허영)'을 위하지 않는다.
여기서 '배(腹)'는
①사람이 생존하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한의 욕망, 즉 '먹고 사는 일'을 가리킨다. (민생)
② 배(腹)는 하단전(下丹田)으로, 기(氣)의 발전소다.
기(氣)는 생명의 근원이며,
건강한 생명 활동을 위해서는 정충(精充)이 되어야 하고, 무엇보다 뱃 속이 건강해야 한다.
뱃 속이 편안해야 한다.(精充)
③ 그러므로 '뱃 속에 道가 있다'. 생명이 있다.
'배를 위한다(爲腹)'는 것은 바로 '道, 생명, 근본(本)'을 위하고 중요시 한다는 뜻이다.
반대로 눈(目)은 '욕망'을 가리킨다.
견물생심(見物生心)이란 말은 '물건을 보면(見) 욕심(心)이 생긴다'는 뜻이다.
욕심이란 보는 데서, '시각적 정보'에 의해서 가장 많이 가장 쉽게 일어난다.
"마음은 물건에서 생겨나고 물건에서 죽으니, 기틀이 눈에 있다."
心生於物死於物 機在目
심생어물사어물 기재목 -『황제음부경』
그래서 성인은 눈을 위하지 않으니, (不爲目)
道와 생명, 근본에서 벗어난 욕심이나 허영, 사치와 향락을 취하지 않는다.
'물의 방(老莊) > 도덕경(道德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이야기- 15장. 옛날에 道를 잘 닦은 사람들은..(古之善爲道者) (0) | 2015.11.26 |
---|---|
노자 이야기- 13장. 사랑을 받거나 욕을 먹으면 놀라니..(寵辱若驚), 14장. 보아도 보이지 않는 것을..(視之不見) (0) | 2015.11.12 |
노자 이야기- 9장. 그치는 것만 같지 못하다(不如其已).. 10장.혼과 백을 실어 하나를 안고(載營魄抱一).. (0) | 2015.10.29 |
노자이야기- 7장.하늘은 길고 땅은 오래하니(天長地久).. 8장.최상의 선은 물과 같으니(上善若水).. (0) | 2015.10.22 |
노자이야기- 5장. 천지는 어질지 않아서(天地不仁).. 6장.골짜기의 신비로움은 죽지 않으니(谷神不死).. (0) | 2015.10.15 |